A Certain Scenery

심문섭
전시종료
2025. Sep. 9 - 2025. Oct. 11

오케이앤피(OKNP, 부산)는 오는 9월 9일부터 10월 11일까지 심문섭 작가의 개인전 《A Certain Scenery》를 개최한다. 한국 현대조각의 새로운 장을 열어 거장의 반열에 올라선 심문섭(1943-)은 현재 고향 통영에 거주하며, 통영 앞바다의 빛과 물결을 회화로 담아내고 있다. 이번 전시는 그의 최신 회화 연작을 선보이며, 바다의 푸르른 빛과 깊은 사유가 담긴 작품들을 소개한다.

심문섭은 1965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를 졸업한 후, 산업적 감수성과 새로운 물성을 도입한 <포인트> 연작으로 1969·1970년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서 문공부 장관상과 1971년 국회의장상을, 1970년 제1회 한국미술대상전에서는 국무총리상을 수상하며 일찍이 한국 조각계의 주목을 받았다. 같은 시기 한국아방가르드협회(AG) 활동에 참여해 전위적 실험의 선두에 섰고, 스테인리스·아크릴 같은 신소재를 조각에 도입하며 새로운 조각적 언어를 열었다. 이 시기 대표작 <포인트-77>(1969)은 지그재그 구조와 모듈 반복을 통해 작가의 흔적을 지우고, 마치 공업생산품과 같은 미감을 드러냈는데, 이는 전후 폐허의 철을 다루던 앵포르멜 세대와 달리 미래 도시와 테크놀로지의 감수성을 반영한 조각으로 평가된다. 당시 심문섭은 “재료는 작가의 개성에 알맞은 수단을 넘어, 자체로 공간을 포용하는 가능성을 가진다”고 선언하며 한국 조각의 지평을 확장했다.

이후 그는 1970년대에는 <관계>와 <현전> 시리즈를 통해 나무·돌·흙 등 자연물의 물성을 드러내며 “재료가 곧 작품”이라는 획기적 선언을 남겼다. 1980년대에는 <목신>, <토상>, <메타포>, <제시>, <반추> 등 연작을 전개하며 물성과 자연을 주제로 한국 조각의 독창적 언어를 심화시켰다. 전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오광수는 <목신> 연작에 대해 “미완의 소박한 질감이 목기(木器) 문화를 통해 나타나는 우리 오랜 기억의 어느 부분을 채워준다”며, 그것을 “농경민족의 추억”으로 요약한 바 있다. 이는 그의 작업이 단순한 실험을 넘어 한국인의 집단적 기억과 정체성을 환기함을 보여준다.
그의 예술은 국제적으로도 주목받았다. 1971년부터 파리 비엔날레에 세 차례(1971, 1973, 1981) 참여했으며, 1975년 상파울루 비엔날레, 1995년과 2001년에는 베니스 비엔날레 특별전에 참가하여 한국 현대미술의 위상을 알렸다. 2007년 그는 프랑스 문화성 초대로 팔레 루아얄 정원에서 초대전을 열었으며, 이러한 공로로 그는 프랑스 예술문화훈장을 수훈했다. 2016년 국립현대미술관 회고전 《자연을 조각하다》에서는 반세기에 걸친 작업세계를 총망라하며 ‘자연을 빚은 조각가’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전시의 제목 《A Certain Scenery》는 작가가 지속적으로 사용해온 상징적 표현이다. 프랑스 파리 이브 갤러리(Ibu Gallery)에서 열린 전시가 그 출발점이었고, 2025년 뉴욕 페로탕 갤러리 개인전에서도 《A Certain Scenery》이 사용되었다. 이번 부산 전시는 이러한 흐름을 잇는 세 번째 전시로, 통영 앞바다의 풍경을 화폭에 담아낸 회화 연작을 통해 조각에서 회화로 이어진 심문섭 예술의 일관된 궤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전시를 준비하며 심문섭은 “적은 색과 적은 언어로 더 깊은 울림을 전달하고자 합니다. 캔버스의 물질성과 가능성을 받아들이며, 캔버스, 붓, 물감, 그리고 창작 행위 자체가 각자의 본질을 드러내도록 합니다. 때로는 충돌하고, 때로는 조화를 이루지만, 결국에는 서로 소통하며, 그들만의 풍경을 만들어냅니다”라고 말한다. 이는 전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오광수가 그의 회화를 보며 평한 “작가가 자연 속에 자신을 자맥질시킴으로써 인간과 자연이 혼연일체되는 현전이야말로 노자가 무위자연을 말하면서 자연 속에 노닌다고 한 그 노님의 경지”와 같은 선상 위에 서 있는 말이다.

무엇보다 이번 전시는 부산에서 열린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심문섭은 1965년 부산 공보관 개인전을 통해 지역 미술계에 실험적 조각을 소개했고, 이후 갤러리604 개인전 등 부산과 깊은 인연을 맺어왔다. 2023년 경남도립미술관 전시가 지역적 뿌리를 확인하는 계기였다면, 이번 OKNP 개인전은 동남권 문화 중심지인 부산에서 ‘거장의 현재’를 다시 만나는 자리다. 《A Certain Scenery》는 단순한 풍경화가 아니라, 평생 추구해온 “자연과의 교감”을 회화라는 매체로 확장한 성취다. 관객은 그의 화면을 통해 바다의 물성과 빛을 마주하며, 자연과 인간, 존재의 본질에 대한 성찰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OKNP (Busan) is pleased to present A Certain Scenery, a solo exhibition by Shim Moonseup, on view from September 9 to October 11, 2025. Recognized as a master who has opened a new chapter in contemporary Korean sculpture, Shim (b. 1943) currently resides in his hometown of Tongyeong, where he translates the light and waves of the sea into painting. This exhibition introduces his latest series of paintings, works imbued with the luminous hues of the sea and profound contemplation.

After graduating from the Department of Sculptur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1965, Shim Moonseup gained early acclaim in the Korean art scene with his Point series. Incorporating industrial sensibilities and new materials, he was awarded the Minister of Culture Prize at the National Art Exhibition in 1969 and 1970, the Speaker of the National Assembly Prize in 1971, and the Prime Minister’s Prize at the inaugural Korean Art Grand Prize Exhibition in 1970. At the same time, he participated in the avant-garde collective AG (Korean Avant-Garde Association), pioneering experimental practices and introducing new sculptural vocabularies with stainless steel and acrylic. His landmark work Point-77 (1969) erased the trace of the artist through zigzag structures and modular repetitions, presenting an industrial aesthetic distinct from the Informel generation and reflecting the sensibilities of future cities and technology. As he declared at the time, “Materials are not merely tools suited to the artist’s individuality; they themselves possess the potential to embrace space,” a statement that broadened the horizon of Korean sculpture.

In the 1970s, Shim shifted his focus toward natural materials in his Relation and Presence series, emphasizing that “materials are the work itself.” Throughout the 1980s, he further explored the themes of matter and nature through series such as Wood God, Earth Images, Metaphor, Presentation, and Reminiscence, solidifying a distinct sculptural language. Former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director Oh Kwang-su noted that the Wood God series evoked “the rustic texture of unfinished wood vessels, recalling the collective memory of an agrarian culture.” His work thus transcended experimentation to engage with collective identity and cultural memory.

Internationally, Shim’s work also garnered wide recognition. He participated in the Paris Biennale three times (1971, 1973, 1981), the São Paulo Biennale (1975), and the Venice Biennale (1995, 2001). In 2007, he was invited by the French Ministry of Culture to present a solo exhibition at the Palais-Royal Garden in Paris, for which he was awarded the Ordre des Arts et des Lettres. In 2016, his retrospective Sculpting Nature at MMCA celebrated five decades of his oeuvre, affirming his reputation as a “sculptor who molds nature.”

The title A Certain Scenery has long served as a symbolic phrase in Shim’s practice. It was first used for his exhibition at Ibu Gallery in Paris, and more recently for his 2025 solo show at Perrotin New York. This exhibition in Busan marks the third iteration of A Certain Scenery, presenting new paintings that extend the trajectory of his artistic language from sculpture to painting, translating the seascapes of Tongyeong onto canvas.

Reflecting on this body of work, Shim states:
“With fewer colors and fewer words, I seek to convey a deeper resonance. By embracing the materiality and possibilities of canvas, I allow canvas, brush, paint, and the act of creation itself to reveal their own essence. At times they collide, at times they harmonize, but ultimately they converse, creating their own landscape.”
His words resonate with former MMCA director Oh Kwang-su’s assessment of his paintings: “By immersing himself in nature, the artist achieves a unity of human and nature—an experience of presence that recalls Laozi’s teaching of wu wei zi ran (effortless naturalness).”

This exhibition is especially significant as it takes place in Busan. In 1965, Shim introduced experimental sculpture to the city with his solo exhibition at the Busan Public Information Hall, later holding another solo exhibition at Gallery 604, establishing a long-standing relationship with the region. If his 2023 exhibition at the Gyeongnam Art Museum reaffirmed his regional roots, A Certain Scenery at OKNP reintroduces “the present of a master” in the cultural center of the southeastern region.

More than a landscape, A Certain Scenery embodies a lifelong pursuit of communion with nature, now extended into painting. Through his canvases, viewers encounter the light and substance of the sea, experiencing profound reflections on nature, humanity, and the essence of existence.

Read More

"*" indicates requir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