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유하는 식물들_Floating Plants
러스티오렌지이 전시는 화분 브랜드 러스티 오렌지의 3명의 작가가 식물과 자신의 작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해석하여 결합할 것인가, 그럼으로써 식물과 작품이 함께하는 어떤 공간을 제안할 수 있는가로부터 출발하였다.
사실 식물은 햇빛, 바람 등 자연스런 야외 환경에서 존재할 때 가장 아름답지만 도시화가 심화된 지금, 사람은 인공적 공간에서 일상의 대부분을 보내게 되면서 자연을 실내로 끌어오는 방식을 취하게 되었다. 실내로 들어온 식물은 다양한 형태로 공간에 놓여지는데 플렌테리어라는 이름으로 물리적 공간을 장식하기도 하고, 사람들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장치로 활용되기도 한다. 특히 살아있는 생명체인 식물로설치된 그 공간은 그 식물들을 돌봄으로써 사람과의 교감이 필요한 인터렉티브한 공간으로 정적공간이 아닌 동적이며 작품 경험의 지속성을 갖게 된다. 그리고 식물의 성장과 쇠퇴는 공간의 물리적 변화와 변형을 보여준다.
러스티 오렌지의 설립자 강경연과 팀원인 이재준, 허정은은 모두 조형작가로 활동하며 주로 점토를 이용한 다양한 도자 작품을 만들어 왔다. 이들은 흙과 식물을 심고 가꾸는 걸 좋아하는 공통점으로부터 브랜드를 만들어가고 그 가치를 화분, 그리고 오브제에 담는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그들이 가고자 하는 방향은 단순한 식물의 ‘집’만이 아닌 이들이 고민하고 창작하는 모든 것things과 식물과의 조우를 통해 예술과 자연이 공존하는 새로운 조형과 공간을 창조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별히 이번 전시에는 다양한 식물군 중 보통 행잉식물로 불리우는 것들과
뿌리줄기 식물들, 즉 땅속에 뿌리를 내린 채 수직으로 자라나는 일반적 식물이 아닌 수평으로 자라나는 식물들과 대기의 습기만으로도 성장이 가능한 공중뿌리 식물들 위주로 선택하였다. 3명의 작가들의 작품 역시 바닥면으로부터 시작하는 일반적 조형작품과 달리 벽면이나 천정으로부터 설치되어 아래에서 위가 아닌 위에서 아래로의 시선으로 유도하는 작품들로 식물들과 더불어 전체적으로 수직 방향성이 강조되는 공간을 연출하고자 하였다. 이들 3명은 각각의 방식대로 식물과 자신 작품과의 관계성을 해석하고 매칭을 통해 메시지를 담은 공간을 제안한다.
강경연은 2021년부터 UNSEEN 시리즈를 통해 감춰진 공간적인 깊이와 빛을 끌어들이기 위한 장치로써 빛이 표면에 닿을 때 투과와 반사를 동시에 일으키는 소재를 사용하여 나뭇잎 형태의 조각들을 만들고 공중에 설치하는 작업을 해왔는데 이는 ‘꿈과 몽상’이라는 비현실의 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검은색 둥근 형태의 세라믹과 행잉 식물을 결합하고 스테인리스스틸 망과 철사로 제작한 나뭇잎을 2층 전시장의 높은 천장으로부터 수직으로 늘어뜨린 UNSEEN_Floating Plants를 선보인다. 겹겹이 매달린 나뭇잎을 지나 나타나는 식물 오브제는 REAL과 UNREAL이 혼재된 비현실적이고 몽환적 분위기를 경험하게 하며 아트리움 형식으로 공간에 맞게 가변설치가 가능하다.
이재준의 작품은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성에 기반한다. 그는 인간의 문명사회와 자연 생태계 안에서 발생하는 일방적 폭력성, 파괴성을 고발하는 작품을 발표해왔으며 최근에는 그 관계 회복성에 주목하고 있다.
1층 전시장 안쪽 깊숙한 곳에 위치한 그의 테라코타‘붉은 벽’은 천정에서 내려오는 초록의 잎사귀들과 대비를 이루는데 부조로 만들어진 타일의 곡선은 시작점과 끝점이 없는 연속성을 이룬다. 심겨진 식물 역시 언제든 중간 줄기가 끊어지더라도 땅속뿌리(중심점)없이 생존이 가능한 식물들이다. 작가는 자연과 인간과의 올바른 관계성의 회복은 인간(지배자라 생각하는)이 자연(지배대상으로 생각하는)을 위계와 이분법에 의한 수직적 관계가 아닌 수평적 관계로 바라볼 때 비로소 가능하다고 말한다,
2층 전시장 벽면의 ‘가변적 풍경Ⅰ – 오후 4시’와 바닥면에 놓여있는 항아리 ‘가변적 풍경Ⅱ’는 안과 밖이라는 서로 다른 공간에 위치한 자연물과 설치된 작품 간의 관계성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연기로 그린 작품 ‘회색숲’과 한단씩 흙가래를 쌓아올려 만든 ‘달항아리’에는 마당의 나뭇가지와 나뭇잎 그림자가 창을 통해 투사되며 그 이미지는 시시각각 달라진다. 작품명 ‘오후 4시’는 벽면의 작품에 가장 아름답게 나무 그림자가 드리우는 시각인 오후 4시에 맞춰 지은 작품명으로 아마 전시가 끝나는 11월 말쯤이면 ‘오후 3시의 풍경’이 더 어울릴지도 모르겠다. 이 두 작품은 자연이 개입될 때 비로소 완성되며 입체인 항아리에 그려지는 이미지는 평면의 그것과 어떻게 다른지 관찰해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이다.
허정은은 창작의 주체성과 작품의 완결성이라는 기존의 예술적 전제들을 해체하고 재구성한다. 이는 단순한 물질적 해체가 아닌, 예술 행위의 본질을 향한 철학적 탐구이다. 작품에서 보이는 반복적 행위들은 그 안에서 일어나는 지속적인 변화와 위치의 이동은 서로 대립하는 요소 간의 긴장과 균형을 만들어내며, 이를 통해 새로운 의미의 장을 열어낸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실제’식물과 ‘가짜’식물을 동시에 보여준다. 1층 흰 벽면에 가득한 백색의 파편화된 잎사귀 모양의 도자 유닛들은 어렴풋한 실루엣으로 마치 필름 카메라의 감광지 흔적처럼 살아있는 식물들의 하얀 그림자로 인식된다. 이들은 주변에 설치된 실제 식물들과의 배열 속에서 새로운 의미론적 구조를 생성한다. 작가는 철저한 계산이 아닌 순간의 직관으로 나열하고 조합하고 재구성하며 그 작품은 어딘가로 끊임없이 부유하는 형식을 갖게 된다.
바닥에 고착화 되지않는 식물들, 즉 중심점 없이 수평으로 뻗어 나가며 새로운 곳에서 언제든 뿌리와 줄기를 내어 새로운 연결을 만들어내는 탈중심적이고 비위계적인 구조를 가진 식물들은 작가인 우리에겐 매우 흥미로운 식물이었다. 심지어 조형적으로 아름답기까지 하다. 고착화된다는 것은 한 곳에 뿌리를 내리고 특정한 장소에 갇힌다는 의미이다. 예술가의 숙명은 끊임없는 자아성찰과 변화를 통해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 그러기 위해서는 새로운 것과 환경을 받아들일 줄 알아야한다는 점에서 이 식물들은 작가들에게 충분한 작품의 동기와 소재가 되었으며 식물과 작품을 결합한 공간을 연구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번 전시를 통해 3명의 작가들이 자연물과 인공물의 물성 차이를 해석하고 그 간극을 자연스럽게 좁혀 제안한 이 공간들은 앞으로의 더 확장된 개념의 러스티 오렌지가 나아갈 방향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이재준 (러스티 오렌지 디렉터)
※ 이 글은 작가노트를 참조로 쓴 글임을 밝힙니다.
The exhibition begins with a question shared by the three artists of the planter brand Rusty Orange: how can each of them interpret and merge plants with their own artistic practice, and through that process, what kind of space can be proposed where artworks and plants coexist?
In truth, plants are at their most beautiful outdoors—bathed in sunlight and wind. Yet, as urbanization intensifies, people now spend most of their lives in artificial environments, seeking ways to bring nature indoors. Once inside, plants are placed in various spatial contexts: they serve as decorative elements under the concept of “plant interior,” or plantérior, and function as devices to offer psychological comfort. Especially when incorporated into spatial installations, plants—being living organisms—turn a static environment into a dynamic, interactive space that requires human engagement. Their growth and decline physically alter their surroundings, revealing the natural transformation of space over time.
Rusty Orange was founded by sculptor Kyoungyoun Kang and fellow members Jaejoon Lee and Jungeun Hu. All three work primarily with clay, creating ceramic works that explore form and material. Sharing a common love for soil, planting, and cultivation, they developed Rusty Orange as a brand that captures those values in planters and sculptural objects. But their ultimate pursuit goes beyond simply creating “homes” for plants. They aim to build new sculptural and spatial experiences—born from the encounter between the artists’ ideas and living nature.
In this exhibition, they focus on particular plant species, especially hanging plants, rhizomatous species that grow horizontally rather than vertically, and air plants that survive solely on moisture in the atmosphere. Similarly, their artworks diverge from traditional floor-based sculptures, instead installed from walls or ceilings, leading the viewer’s gaze downward rather than upward. Together, these elements emphasize vertical movement throughout the space, creating an atmosphere of lightness and suspension. Each artist interprets their relationship with plants differently, pairing their works and plants to express unique spatial messages.
Since 2021, Kyoungyoun Kang has developed her UNSEEN series, in which leaf-shaped fragments made of translucent-reflective materials are suspended to capture and refract light. The works act as spatial devices, drawing hidden depth and light into the environment and evoking a sense of dreams and reverie.
For this exhibition, Kang presents UNSEEN_Floating Plants, combining dark, rounded ceramic forms with hanging plants and stainless-steel mesh leaves lowered from the high ceiling of the second floor. The layered, floating leaves reveal plant objects beneath them, forming a variable installation adaptable to the atrium’s architecture—a surreal space of serenity and airiness.
Jaejoon Lee’s practice is roo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His past works have exposed the violent domination and destruction that human civilization inflicts on natural ecosystems. Recently, however, he focuses on the potential for recovery and reconnection.
His Red Wall, a terracotta relief placed deep within the first-floor gallery, contrasts sharply with green leaves hanging from the ceiling above. The continuous, circular forms of the wall tiles suggest cycles with neither beginning nor end. The plants embedded within it can survive even when their stems are severed, as they possess no central root system. For Lee, a healthy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can only begin when humans—who have positioned themselves as rulers—abandon hierarchical, vertical frameworks and instead view nature as equal, in a horizontal relationship.
On the second floor, Lee’s Scene at 5 PM depicts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in two different spatial realms—inside and outside. Based on his previous smoke-drawing series Gray Forest, the work is titled after the time when sunlight casts the most beautiful shadows of branches and leaves from outside the exhibition space onto the wall inside, around 5 p.m. Depending on the season and time of day, the projected image constantly changes. By the end of the exhibition in late November, the title Scene at 4:30 PM might better capture the shifting light.
Jungeun Hu dismantles and reconstructs the conventional ideas of artistic authorship and formal completeness. Her approach is less about material deconstruction than a philosophical inquiry into the essence of creation itself. The repetition and spatial rearrangement seen in her works produce a tension and equilibrium between opposing elements, thereby opening a new field of meaning.
In this exhibition, Heo presents both “real” and “artificial” plants. White, ceramic fragments shaped like scattered leaves fill a wall on the first floor, forming faint silhouettes reminiscent of photo paper exposed to light—like ghostly shadows of living plants. Through their arrangement among nearby vegetation, they generate new semantic and spatial structures. Guided not by calculation but by intuition, Heo composes and recombines these fragments, resulting in works that seem to float endlessly, free of fixed form or finality.
The plants selected for this exhibition—those that do not cling to the ground, that stretch horizontally and take root wherever they land—embody a decentralizing, non-hierarchical structure that deeply intrigues these artists. Even in form, they are remarkably beautiful. To be fixed in place is to be confined—to take root and be trapped in one location. Yet for artists, the path forward lies in constant self-reflection and transformation; it requires flexibility and openness to new things and environments. In this sense, these plants provided both motivation and material for the artists to explore the union of nature and art within spatial design.
Through this exhibition, the three members of Rusty Orange reinterpret the material boundaries between the natural and the artificial, gently bridging the gap between them. The space they propose reveals an expanded direction for Rusty Orange—one that continues to evolve through the fusion of creation and growth.
Text by Rusty Orange DirectorJaejoon Lee (edited from the artist’s statement)
-
러스티오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