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려라 HOLLYEORA be.spellbound
안상수 ahn sang-soo오케이앤피 부산은 타이포그래피의 거장 안상수(날개)를 초대해 개인전 <홀려라>를 연다. 안상수는 ‘한글’ 등 글자를 기반으로 자신만의 조형 언어를 구축해 새로운 감각을 보여주고 있는 작가이다.
안상수는 훈민정음 해례본에 담긴 제자 원리를 바탕으로 탈네모꼴의 ‘안상수체’(1985)를 멋지은(디자인한) 타이포그래퍼, 디자이너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안상수의 세계는 다만 디자인에만 머무르지 않았다. 글자를 이용한 그의 조형 실험은 회화, 조각, 설치, 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와 함께 미술과 디자인의 경계를 넘나들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리움미술관의 전신인 로댕갤러리 <한.글.상.상>(2002)전을 비롯해 구텐베르크상 수상기념 라이프치히 HGB 초대전(2007), 서울시립미술관의 <날개.파티>(2017)전 등 대규모의 개인전을 가진 바 있으며, <도쿄 비엔날레>(도쿄, 2021)를 비롯하여 <Korean in Color>(샌디에이고미술관, 2023), <광저우 트리엔날레>(광동미술관, 2023) 등 해외 주요 기획전에도 참여하며 작가로 굳건히 자리 잡았다. 사실 그의 이런 행보는 최근만의 일은 아니다.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 80년대부터 그는 디자이너로서는 드물게 개인전을 개최하며 작가임을 알려왔고, 이불, 최정화 등 한국의 포스트모더니즘을 열었다고 평가받는 이들과 가까이 지내며 다양한 기획전을 함께 해 꾸준히 작품을 발표해왔다. 김홍희(전 서울시립미술관 관장)는 이렇게 어느 틀 안에 갇히지 않고 종횡무진하며 미술계와 디자인계를 넘나드는 그를 두고 “정형화되지 않고 기성 가치에 물들지 않은 그의 캐릭터를 일별하며 나는 그가 이 시대의 아방가르드임을 직감했다. 그가 보여준 예술적 행각과 삶의 태도에서 나는 진정한 아방가르드의 모습을 확인했다”고 평한다.
이번 안상수의 개인전 <홀려라>는 2017년부터 지속하고 있는 ‘문자도’ 시리즈로 구성된다. 서울시립미술관, 아모레퍼시픽 미술관 등 국내 주요 미술관에 소장된 <홀려라>는 한글 닿자와 민화를 조합하여 만든 그림, 즉 문자도이다. <홀려라>는 글자로 이루어진 이미지이지만, 각 글자를 해체하여 조합했기 때문에 실제로 마주하면 읽어낼 수 없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글자를 읽어내는데 익숙한 우리는 문자도를 애써 읽어내려고 하는데, 이를 통해 ‘의미와 무의미 사이’를 수없이 오가게 한다. 문자도를 감상하는 묘미는 여기에 있다. 우리가 추상화를 대하며 느끼는 감각들을 그는 글자를 활용하여 더욱 적극적으로 마주하게끔 하는 것이다. 또한 자음 ‘ㅎ’의 존재는 ‘발성과 묵음 사이’도 오가게 한다. 이에 대해 미술평론가인 조새미는 “이 연작에 드러나는 그림 형상은 공통으로 감각 지각적 요소의 특성을 내포한다. 다만 감각 지각을 종합체계로 하나로 통합하기보다, 각각의 요소가 원래의 특성을 보존하는 상황에서 서로 소통하고 교류하는 통로 개념으로 드러나 있다. 마치 둘 이상의 관이 중앙에서 하나로 연결되어 양쪽에 있는 액체들이 서로 침투하면서 같은 높이와 밀도를 이루게 되는 과학 실험용 도구인 연통관”같은 것이라 말한다.
이번 전시의 제목은 작품의 이름 그대로 가져와 ‘홀려라’로 정했다. 작가는 작가 자신을 두고 ‘한글에 홀린 사람’이라 말한다. 그리고 그가 이룬 모든 미학적 성취에 관해서도 “홀렸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라고 말한다. 작가는 이번 전시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작품 활동을 펼치겠다고 했다. 이 또한 무언가에 홀렸기 때문에 가능한 일일 것이다. 문자도 <홀려라>는 안상수 미학의 정수를 꿰뚫는 연작이다. 더불어 언급한 바와 같이 그가 살아온 삶의 방식을 대변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이번에 선보이는 문자도 <홀려라>는 이전보다 더욱 과감한 형태 해체와 조합이 두드러진다. 흡사 만화경을 연상케하는 <홀려라>는 그가 단순히 글자들을 조합하는 것만이 아니라 여러 실험을 통해서 재구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전에는 사용하지 않았던 재료, 흑연을 활용한 독특한 마티에르 구성 등도 돋보인다. 이 모든 것은 마치 글자를 모르는 어린아이의 글자 놀이처럼 안상수도 같은 태도로 작품에 임했음을 짐작케 한다. 이번 전시를 감상하며 그의 삶에서 홀려왔던 것들을 마주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OKNP Busan invites the typography master, Ahn Sang-soo(Nalgae), to hold a solo exhibition titled “Be Spellbound.” Ahn Sang-soo is an artist who has been showing new senses by building his own formative language based on letters such as “Hangeul.”
He is widely known as a typographer and designer who designed the de-squared “typeface Ahn Sang-soo”(1985) based on the principles of invention contained in the Hunminjeongeum Haerye. However, Ahn Sang-soo’s world did not just settle in design. It is because his experimentation with letters crosses the boundary between art and design along with various media such as paintings, sculptures, installations, and media. He has held large-scale solo exhibitions such as the “Imagining Hangul” (2002) at the Rodin Gallery, the former of the Leeum Museum of Art, the invited exhibition of the Gutenberg Award-winning Leipzig HGB(2007), and the “Nalgae.PaTI”(2017) at the Seoul Museum of Art. Also, he has established himself as an artist by participating in major overseas exhibitions such as the “Tokyo Biennale”(Tokyo, 2021), “Korean in Color” (San Diego Museum of Art, 2023), and “Guangzhou Triennial”(Guangdong Museum of Art, 2023). In fact, such a move has not just started recently. Since the 1980s, when he began his career in full-fledged, he has held solo exhibitions, which is rare for designers, making his name known as an artist, and has been close to the artists who are said to have opened Korean Postmodernism, such as Lee Bul and Choi Jeong Hwa, and has consistently released artworks through various exhibitions. Kim Hong-hee (former director of the Seoul Museum of Art) commented on him, who is not trapped in a certain frame but is extensively crossing the art and design industries, “Getting a glimpse of his character, who is not stereotyped and not influenced by established values, I had an intuition that he was the avant-garde of this era. From the artistic actions and attitudes of life he showed, I found the true avant-garde.”
This solo exhibition of Ahn Sang-soo, “Be Spellbound,” consists of a series of “Munjado, Letter Works” that Ahn has continuously worked on since 2017. “Be Spellbound,” collected by major art museums in Korea, such as the Seoul Museum of Art and the Amorepacific Museum of Art, is a drawing created by combining the Korean character, dat-ja, and folk paintings; in other words, Munjado. “Be Spellbound” is an image made of letters, but because each letter is disassembled to recombine, it cannot be read as a letter when faced in person. However, we, who are accustomed to reading letters, try to read them, and through this activity, we countlessly cross between “meaning and meaninglessness.” This is the beauty of appreciating Munjado. Ahn makes us face the senses we feel, facing abstraction, more actively by using letters.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the consonant “ㅎ” also drives moving “between phonation and silent.” In response, art critic Sae-mi Cho said, “The image shapes revealed in this series commonly contain the characteristics of sensory perception elements. However, rather than integrating sensory perception into a comprehensive system, it is shown as a concept of a passage for communicating and exchanging each other in a situation where each element preserves its original characteristics. It’s like a communicating vessel, a scientific experimental tool in which two or more tubes are connected in the center for liquids on both sides to penetrate each other and achieve the same height and density.
The exhibition’s title, “Be Spellbound,” was taken from the work. The artist says that he is “a person who is spellbound by Hangeul.” Also, about all the aesthetic achievements he has achieved, he says, “It was possible because he was spellbound.” Starting with this exhibition, the artist said he would start his work activities in earnest. This will also be possible because he is spellbound by something. The Munjado “Be Spellbound” is also a series that penetrates the essence of Ahn Sang-soo’s aesthetics. In addition, as mentioned, the work also represents the way of life he has lived. The Munjado “Be Spellbound,” presented this time, stands out for its bolder shape and combination than earlier works. “Be Spellbound,” which reminiscences kaleidoscopes, shows that he is not just combining letters but reconstructing them through various experiments. In addition, the unique matière compositions using graphite materials that were not used before stand out. All of these suggest that Ahn Sang-soo worked with the attitude of a child playing with the letters that they do not understand. I hope the exhibition will become an opportunity to face what Ahn Sang-soo has been spellbound with in his life.
-
안상수 ahn sang-soo
Cont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