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NO TAKERU

Amano Takeru
전시종료
June 22 - July 16, 2023
AMANO TAKERU 아마노 타케루

Black and white, woman and man, belong and not of belongs and not, from painting and printing, to sculpting and designing, delicate in might, an artistic mind with a following of eyes from various field of life.

– Takeru Amano –

 

OKNP와 신세계갤러리(강남)는 오는 6월 22일부터 7월 14일까지 약 한 달 간 일본, 미국, 프랑스, 홍콩 등 세계 곳곳에서 전시를 개최하고 사랑을 받아오고 있는 아마노 타케루(天野健, Amano Takeru, 1977~)의 한국 첫 공식 개인전을 개최해 총 54점의 신작을 선보인다. 타케루는 순수예술 영역에서의 활동은 물론 디자인 영역까지 섭렵하며 다양한 시각예술 활동을 하는 작가이다.

1977년 도쿄에서 태어난 타케루는 다양한 시각 체험 속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당시 일본은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서브컬쳐들이 본격화되어 나오는 시기이기도 했고, 미술계에서는 모노하 등을 통해 독자적인 미학을 탐구함과 동시에 서구의 팝아트 등 선진 미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시기이기도 했다. 1997년, 20세에 그림을 본격적으로 배우기 위해 뉴욕길에 올랐던 그는 3년간 판화나 스트리트아트에 매료되어 미국의 다양한 문화를 온몸으로 습득했고, 이를 통해 그만의 독특한 길을 개척하기 시작했다. 2000년 일본으로 돌아온 그는 전통적인 갤러리에서 전시를 개최하는 대신에 색다른 공간에서 활동을 시작하며 새로운 길을 개척하기를 원했는데, 이렇게 기존 예술계의 엄격한 룰을 교란하는 그의 활동은 지금도 다른 방식으로 반복되고 있다. 그렇기에 그의 활동은 예측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여주는데, 사람들은 그의 이런 활동을 통틀어 ‘NEW ART’라고 명명한다.

그의 작품에 대한 미술사학적인 평가는 ‘팝아트’(Pop Art)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이전의 팝아트가 마릴린 먼로와 같이 일반 대중의 획일화된 아이콘을 모티브를 삼은 것과는 달리, 타케루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개개인의 ‘팬덤’과 ‘환상’에 초점을 맞춰 그것을 모티브로 작품을 제작한다.[1] 동시대 예술이 ‘창조’가 아닌 ‘인용과 재인용’로 바뀌었다는 점[2], 더 나아가 ‘거대한 이야기’에서 ‘작은 이야기들’로 주제가 이행되었음[3]을 인지한다면, 아마노 타케루의 미학을 이해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타케루는 이를 감각적으로 캐치해 선구해가고 있는 것이다. 그가 인스타그램과 같은 소셜 미디어에서 영감을 받아 작업하면서, 이를 통해 정치적이거나 종교적 메세지를 드러내기보다는 그와 그를 둘러싸고 있는 개인적 관계, 현실에 대한 이야기만을 다룬다는 점 또한 이런 맥락에서 주목할 만하다. 과거의 팝아트가 고급문화과 하위문화의 경계를 무너트리는 것을 목적으로 시작했지만 고급문화에 편입되어 갈 길을 잃은 것과는 다르게, 타케루는 그의 기반을 명확히 이해하여 이전 선배들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다는 점이 흥미롭다. 그는 진실로 젊은 세대 개개인의 취향과 환상을 존중하고 그것을 지표삼아 새로운 세계를 개척해 나간다.

타케루는 노랑, 분홍 등 명쾌한 배경 위에 간략한 선으로 여인을 그리는 ‘VENUS’ 시리즈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의 작품들을 면밀히 살펴보다 보면 ‘VENUS’ 시리즈 외에도 다양한 작품들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는 ‘VENUS’처럼 간결한 선을 활용해서 강아지나 레몬 등 동물과 정물을 화면에 옮기기도 하고, 바로크 시대의 조형어법 중 하나인 바니타스(Vanitas) 정물화를 연상케 하는 해골 등을 그리기도 한다. 그리고 때로는 거친 붓질로 마감된 풍경화를 선보이기도 하는데, 이를 통해 그의 숙련된 필력을 확인할 수도 있다. 최근 타케루는 회화 작품 외에도 거대한 조각을 비롯하여 아트 토이, 에어-스프레이 작업, 나아가 NFT까지 다양한 매체들을 실험하고 있다. 또한 타케루는 디자이너로서 활동도 겸하고 있는데 유명 아티스트들의 CD나 LP의 자켓을 만들기도 하고, 아시아를 대표하는 패션 디자이너인 요지 야마모토와의 협업 등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활용한 의류 브랜드들과의 콜라보레이션도 진행했다.

타케루는 국내에서는 아트페어를 통해 소개되어 이미 다수의 팬이 확보된 작가다. 하지만 전시를 통해 그의 작품 세계를 면밀히 들여다볼 기회는 아직 없어 아쉬움이 남았다. 이번 아마노 타케루의 첫 공식 개인전을 통해 그의 다채로운 작업 세계를 확인하고, 동시에 그의 철학과 깊이를 알아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1] “타케루의 여인 이미지의 경우, 그는 망가의 장면들이나 또는 그리스/로마 시대의 조각들, 때로는 더 나아가 동시대 걸그룹의 모습을 화면 안에서 용해하고 섞는다. 이를 통해 다케루는 각각 개별적인 취미를 찾아 나서는 오늘 날의 젊은 세대들을 대변한다. 이 점이 마릴린 먼로 등 대중의 일관되고 통일된 취향을 담아내던 과거의 팝아트와 다케루의 변별점이다. 타케루의 ‘뉴 팝 아트(New Pop Art)’야말로 진정성 있게 젊은 세대 개개별의 꿈과 환상을 담아낸다.” <송진섭, The Challenge of New Art: Takeru Amano, 2021>

[2] 할 포스터, 프레드릭 제임슨, 크레이그 오웬스 등 1960년대 이후 미술이론을 이끌어온 여러 필자 등은 포스트모더니즘 계열의 작품들이 갖는 특징을 ‘패러디, ‘패스티쉬’, ‘알레고리’ 등의 용어를 쓰며, ‘창조’가 아닌 ‘인용’에 있음을 다각도에서 지적하고 있다.

[3]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표 이론가인 리오타르는 포스트모더니즘은 ‘거대 담론에 대한 의심’에서 출발되었다고 지적하며, 이제 미래는 ‘거대한 서사’가 붕괴되고 ‘파편화된 다양한 작은 이야기들’의 시대가 될 것이라 이야기했다. <장 프랑소아 리오타르, 이현복 역, 『포스트모더니즘의 조건』(1979), 서광사, 1992, p.63 참고>

Black and white, woman and man, belong and not of belongs and not, from painting and printing, to sculpting and designing, delicate in might, an artistic mind with a following of eyes from various field of life.

– Takeru Amano –

 

OKNP and Shinsegae Gallery (Gangnam) will hold the first official solo exhibition of Amano Takeru (1977~) in Korea, who has been loved and exhibited worldwide, including Japan, the United States, France, and Hong Kong for about a month from June 22 to July 16. Takeru is an artist who engages in various visual art activities, mastering both fine art and the design fields.

Born in Tokyo in 1977, Takeru spent his childhood experiencing various visual inspirations. At that time, in Japan, subcultures such as cartoons, animations, and games were rising in full swing, and the art field explored its own aesthetics through Monoha while actively embracing advanced art such as Western pop art. In 1997, at the age of 20, Takeru went to New York to learn painting in earnest. He was fascinated by print and street art and acquired various cultures in the United States for three years. Through this, he began to pioneer his own unique path. After returning to Japan in 2000, he wanted to start working in different spaces to pioneer a new approach instead of holding exhibitions in traditional galleries, and his activities that disturb the strict rules of the existing art field are still repeated these days in various ways. Therefore, his work shows an unpredictably diverse spectrum, and people call such activities of his “NEW ART.”

According to art historical evaluation, his work is considered an extension of “Pop Art.” However, unlike previous pop art, which used the motif of a standardized icon of the public like Marilyn Monroe, Takeru focuses on the “fandom” and “fantasy” of individuals living in this era and produces works based on it.[1]. It is not difficult to understand Amano’s aesthetics if we recognize that contemporary art has changed to “citation and re-citation”[2] rather than “creation” and that the theme has been changed from “grand narratives” to “little narratives.” [3] Takeru is pioneering by capturing this sensibly. It is also noteworthy in this context that he deals only with stories about himself and the personal relationships and reality surrounding him, rather than revealing political or religious messages, working inspired by social media such as Instagram. Interestingly, unlike pop art in the past, which began with the aim of breaking the boundaries between high and low cultures but eventually permeated into high culture and lost its way, Takeru clearly understands his base and does not repeat the mistakes of his predecessors. He truly respects the tastes and fantasies of each younger generation and uses them as an indicator to pioneer a new world.

Takeru is widely known for his “VENUS” series, in which he paints women with neat lines on clean backgrounds such as yellow and pink. However, if you examine thoroughly at his works, you can see that there are various works in addition to the “VENUS” series. He uses simple lines like “VENUS” to bring animals and still objects such as dogs or lemons to the screen and paints skeletons reminiscent of Vanitas still life paintings, one of the formative languages of the Baroque era. Sometimes he presents landscapes finished with rough brushwork, which shows his remarkable painting skill. In addition to his paintings, Takeru has recently been experimenting with various media, including big sculptures, art toys, air-spray works, and even NFTs. Also, he works as a designer, making album covers for CDs or LPs of famous artists or collaborating with fashion brands, such as Yohji Yamamoto, a representative fashion designer in Asia, using his artistic identity.

Takeru is an artist who has already secured a large number of fans in Korea since he was introduced through the art fair. However, it was regrettable that there was no opportunity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world of his artwork through an exhibition. This first official solo exhibition of Amano Takeru will become an opportunity to confirm his colorful world of art and, at the same time, learn about his philosophy in depth.

 

[1] “In the case of Takeru’s images of women, he melts and mixes scenes from Manga or Greek/Roman sculptures, sometimes even contemporary girl groups, on the screen. Through this, Takeru represents today’s younger generation, whom each seek their hobbies. That is the discrimination point between past pop art that contained consistent and standardized tastes of the public, including Marilyn Monroe and Takeru. Takeru’s “New Pop Art” sincerely captures the dreams and fantasies of individual young generations.” <Jinseop Song, The Challenge of New Art: Takeru Amano, 2021>.

[2] Many authors who have led art theory since the 1960s, including Hal Foster, Fredric Jameson, and Craig Owens, point out from various angles that postmodern artworks are in “citation” rather than “creation,” using terms such as “Parody,” “Pastiche,” and “Allegory.”

[3] Lyotard, a representative theorist of postmodernism, pointed out that postmodernism originated from “incredulity towards metanarratives,” and said that the future will now be an era of “fragmented various small stories and “grand narratives” will be collapsed.” <Refer to 『The Postmodern Condition』 (1979) by Jean-François Lyotard, translated by Hyun-bok Lee, Seokwangsa, 1992, p.63>

Read More

"*" indicates requir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