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Afar, but also from the Nearest

Lee Junwon

이준원 (B.1983~)

우리는 매일 큰 사회와 역사의 흐름 속에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큰 역사와 사회 안에서 개인은 각자의 역사와 이야기를 가지고 일상을 살아가고 있다. 이준원은 인간의 역사와 인간에게 주어진 본원적인 의지를 신화적으로 표현하며 인류사를 향한 질문들을 담고자 하였다.

 

 

 

Lee Junwon (B.1983~)

Our lives are merely a part of larger flows such as society and history but, nonetheless, individuals steadfastly live on with their everyday lives carrying unique history and narratives. Consequently, Lee Junwon uses mythical expressions to capture human history and the primal human willpower and poses questions to the history of mankind.

 

 

 

Balthamor

Acrylic and paint on canvas, 80.3×116.8cm, 2022

멀리서부터, 그러나 가장 가까이로부터
April 3-May 4, 2023

허공으로 뼈다귀 하나가 던져진다. 푸른 하늘이 어두운 인디고빛 우주로 바뀌는 동시에 높이 솟아오르던 뼈다귀는 우주선이 된다. 뼈다귀는 유인원이 무언가를 부수고 다른 무리의 우두머리를 죽이는 인류 최초의 폭력의 도구이며, 다음 장면에 등장하는 우주선은 지구를 도는 궤도 핵폭격 플랫폼이다.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1968)의 첫 장면은 이렇게 시작한다. 태초부터 반복된 역사와 인간이라는 종에 내재된 폭력성, 수만 년이 흐르는 동안 진화한 기술의 과정, 그러니까 아주 오래전부터 시작된 이야기를 단번에 함축해내며 영화사에서 가장 유명한 장면 중 하나로 남았다.
모두가 1인분의 삶을 살아낸다. 그러나 개인의 서사는 사회나 역사와 같은 거대한 서사에서 분리되기 어렵다. 우리는 사회의 변화, 역사의 흐름이라는 거대한 이야기의 등을 타고, 목적지가 어디인지 모른 채 달린다. 각자가 행하는 작은 행위들, 일상의 투쟁이 그 이야기 속에서 무엇을 의미하는지조차 알지 못하고 그저 오늘을 산다. 그럼에도 개인의 존재는 유일하고 특별하다. 빛나는 생의 모습, 꿈틀대는 생의 에너지는 거대한 역사의 흐름이 아니라 개개인의 오늘 속에 있다.

From Afar, but also from the Nearest
April 3-May 4, 2023

A club-sized bone is tossed up into the air. The blue sky surrounding the bone turns into the near-black indigo of space, and the bone soaring high switches into an elongated spacecraft. In the previous scene, one primate leader uses the bone to club the leader of a competing group to death. And while the bone is the very first apparatus of violence in the history of mankind, the spacecraft that follows is, in fact, a nuclear-armed satellite system. This is the opening of 2001: A Space Odyssey (1968). An allegoric sequence that condenses the ageless tale of humanity — the violent nature intrinsic to humankind from the very dawn of the species and how technology developed over tens of thousands of years toward the end — this scene remains one of the most famous openings in the history of film.
Every person lives a person’s life, but the task of sifting one person’s story from the immense narratives of society and history always proves challenging. And although we are individuals, we must ride on the backs of gigantic storylines, such as social change and the flow of history, and we travel without ever knowing where they might bring us. We cannot know if our small actions and everyday struggles would ever matter in such massive narratives; all we could do is live the today. But, despite all this, every individual is unique and invaluable on their own. The bright radiance of life and its organic, vivacious energy lies not in the immense flows of history but within the everyday lives of individual men.

Spiritual, Acrylic and on canvas, 117×80cm, 2023

스스로 도착한 형상들
이준원 작가의 그림에는 반추상적인 형상들이 반복해서 등장한다. 자세히 살펴보면 손과 발, 눈, 장기와 근육의 줄기처럼 다양한 신체의 부분들이 뒤섞여 유기적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신체의 부분이라고는 하지만 각자 살아 움직이는 존재들이다. 매 순간 치열하게 싸우고 성실하게 일하고 격렬하게 사랑한다. 누구에게나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인 이야기, 그러나 각자에게 다르게 읽히는 개별적인 장면이다. 생명력이 넘치는 이들은 대체 어디에서 왔을까.
작가는 이 존재들을 자신이 창조했다기보다는 ‘소환’했다고 말한다. 개별 인간의 서사를 넘어서 오랜 역사를 거쳐 인간이라는 종에 쌓여온 이야기들이 작가의 손을 거쳐 캔버스 위에 얼룩으로 가라앉는다. 드로잉이나 스케치 없이 즉흥적으로 그리는 방식은 추상표현주의를 떠올리게 하지만, 붓과 화면이 닿는 순간의 물리적 우연에 기대지 않는 점은 추상표현주의와 구분되는 지점이다.
작가는 내면에서 더 명징한 생명력을 만나고 이들을 밖으로 꺼내 놓기 위한 수련을 거듭한다. 그리고 오래전부터 이미 생성된 존재들의 에너지가 흩어지지 않도록 그대로 보존하여 화면 위에 조심스레 꺼내어 놓는다. 오래전부터 이어온 서사와 거대한 힘이 응축된 존재들은 작가의 손을 거쳐 스스로 도착한다. 순서 없이 도착했지만 자연스레 있어야 할 자리를 찾고, 마침내 하나의 장면으로 드러난다. 완성된 그림만이 아니라 이 모든 과정이 하나의 예술을 구성한다.

Forms That Arrive on Their Own
Semi-abstract forms repeatedly feature in Lee Junwon’s paintings. Examined more closely, they seem to be various body parts like hands, feet, eyes, organs, and muscles, intermingled and moving in an organic manner. However, although we call them body parts, we know that each one of these is a vigorous living being who is fighting fierce battles, working tirelessly, and passionately making love at every moment of their life. The plot is a common one that can apply to anyone, but we also know that the actual scenes produced by such a plot are unique instances and, moreover, that they are interpreted differently by every individual. Where could these energetic beings have come from?
Lee says that it would be more precise to say that he “summons” them rather than creates them. Beyond telling the tales of individual human beings, Lee, instead, channels the numberless stories inscribed into the species of mankind over history and glides them onto his canvases as marks. Lee paints without making any preliminary drawings or sketches. While this improvisational working process may remind us of abstract expressionism, Lee’s practice is distinct from the school in that he does not depend upon the physical randomness generated at the moment when the brush and canvas make contact.
To observe his inner encounters with the energy of life as accurately as possible and bring them out as faithfully as possible, Lee constantly sharpens his practice. As someone dealing with beings that were already born and living eons ago, he transfers them onto his canvases with utmost care so that their energy would not be scattered and preserved fully intact. The sagas with no beginning and the beings bearing immeasurable energy work their way through Lee’s hands and arrive on their own. They arrive without following a set order, but they naturally find the right place they should be and eventually reveal themselves in a whole, united scene. In the case of Lee’s unique studio practice, every step of him making his works is no less an art than the finished paintings.

Totem, Acrylic on canvas, 91×73cm, 2022

이야기의 원형
소설이나 연극과 같은 서사를 창작하는 사람들은, 이야기를 쓰다 보면 어느 순간부터 인물들이 살아 움직이며 이야기를 만들어 간다고 말한다. 캐릭터가 워낙 입체적이고 생생한 탓에, 아무리 픽션이라 하더라도 작가의 입맛대로 움직여주지 않는 것이다. 이준원 작가의 형상들도 마찬가지다. 인간이라는 종의 탄생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긴 서사와 함께 현재를 살아가는 동적 에너지와 미래를 향한 염원까지 동시에 품은 이들은 작가를 통과해 화면 위에 모습을 드러내고, 마치 소설 속 인물들처럼 자율적으로 관계 맺으며 이야기를 만들어 간다.
이 보편적이고 추상적인 서사는 물론 구체적 인물의 이야기가 아니지만, 한편 작품을 바라보는 누구나의 이야기도 될 수 있다. 마치 신화처럼, 아주 오랜 시간을 관통하는 이야기의 원형이다. 상징으로 가득한 신화는 삶과 유리된 아주 머나먼 전설처럼 느껴지지만, 사랑과 질투, 좌절과 성장, 치열한 노력, 서로 부딪히며 파멸로 향하고 다시 위기를 극복하고 부활에 이르는 그 이야기들은 사실 오늘날 우리의 삶, 또는 우리가 즐기는 픽션들과도 다름 아니다. 멀리서 보면 늘 비슷한 구조의 이야기다. 역사 또한 그렇게 반복되었다. 우리는 모두 반복되는 신화의 플롯 속을 통과하는 중이다.
하지만 그 안에 담긴 개별 인간의 서사는 다르다. 반복되어 온 역사 속에서도 결국 플롯에 변주를 일으켜 서사를 매혹적으로 만드는 것은 작은 인간의 움직임이다. 영화 <덩케르크>(2017)에서 생명을 구하기 위해 자신의 이익을 버리고 나선 민간 어선들, 두려움을 이기고 자신을 희생한 어린 병사, 패배하고 돌아온 병사들을 박수로 맞이하는 시민들이 그러했고, <라이언 일병 구하기>(1998)에서 전쟁의 포화 속에서 한 가족의 희망을 지키기 위해서 마지막 남은 그 집안의 아들을 구하라는 인간적인 명령, 그러나 남은 동료들을 걱정해서 귀환을 거부하는 병사의 책임 있는 행동이 그러했다. 전쟁처럼 국가와 국가가 부딪히는 극적인 순간만이 아니라 아주 사소한 개인의 투쟁 속에서도, 오래된 플롯을 극복해보려는 인간의 용기와 의지가 언제나 이야기의 발전을 이끌었다

The Original of Our Stories
Those who work in narrative art forms such as novels or plays say that after a certain point in writing a story, the protagonists come to life, gain consciousness, and start making stories on their own. Because the characters develop levels of personality as rich and profound as those of a real person, they do not always obey the author’s commands despite them essentially being inhabitants within the author’s work of fiction. Lee’s forms have the same principles. They bear immeasurably long narratives tracing back to the very first days of Homo sapiens, the dynamic energy of human beings who withstand and compete against the struggles of everyday life, and the dreams and expectations people bear in their futures. And they channel through Lee’s hands and reveal themselves on his canvases, autonomously creating stories just as the protagonists in a work of fiction do.
The ubiquitous and abstract narratives contained in Lee’s works do not pertain to any specific person, but by the same token, the stories could apply to any viewer observing his paintings. The narrative in Lee’s oeuvre is the original of many such stories, penetrating through time as long as myths. Works of myths — and especially their stock of countless symbolisms — may seem to us legends infinitely distant and irrelevant to our everyday lives, but the love and suspicion, failure and growth, unyielding perseverance, and their narratives of fighting to destruction, overcoming peril and making a comeback are not very different from the lives we live now or the modern works of fiction we delight in. Take a few steps away, and you see that all of the stories made by men share more or less the same structure and that history has been repeating itself in the same way. We are all living through myths — or plots that repeat for eternity.
However, the tale every individual lives is unique and never the same as any other. History repeats the same stories endlessly, but ultimately, it is the relatively small movements of human beings that add variations to the plot and make the narrative more intriguing. In the 2017 film Dunkirk, there appear civilian fishermen who give up their profits and sail their boats to save lives, a young soldier who overcomes his fears and sacrifices himself, and citizens who welcome soldiers returning home defeated with warm applause. Saving Private Ryan (1998) tells the story of a purely humane military operation amid war’s ruthlessness to rescue the last surviving son of the Ryan family following the death of all of his other brothers, during which the son refuses to withdraw for not wanting to abandon his comrades. But it wasn’t just during extreme circumstances such as wars; even in the most frivolous struggles a person might face, the human courage and will to challenge the old, overarching plot were always what led to the birth of new stories.

용기의 얼룩
우리는 커다란 서사 안의 존재지만, 개별적 삶의 주인이기도 하다. 각자의 삶을 살아내는 데에 필요한 것은 순응만이 아니다. 조금이라도 다른 미래를 만들어 보기 위해서, 혹은 인류의 조상이 던진 뼈다귀가 단지 폭력의 도구만으로 남지 않기를 바라면서 이전과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 보려는 극복의 의지가 필요하다. 그렇다면 여기서 그림이란 무엇일까. 그림의 가장 오래된 기원, 동굴벽화를 생각해본다. 그림이라는 것의 시작은 염원을 담은 ‘얼룩’, 용기를 얻기 위한 ‘토템’, 그러니까 살고자 하는 치열한 몸부림에 가까울 테다.
철학자 김창래는 책 『과학과 정신과학』(2021)에서, 늘 동일한 것이 반복되고 회귀하는 시대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들은 자칫하면 이것만이 유일한 현실이라고 여기며 현재라는 좁은 감옥에 갇히게 된다고 했다. 그러나 역사서술가와 시인들이 우리를 흔들어 깨우고 우리의 영혼을 과거와 미래, 그리고 상상의 세계로 확장해준다. 우리는 인식의 확장을 통해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고 수용하면서 유일한 삶의 답을 벗어나며 새로운 자신을 형성한다. 그렇게 다름을 포괄하면서도 동시에 보편적인 삶을 바라보는 관점을 획득할 때, 우리는 진정으로 시대의 구속을 벗어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역사서술가와 시인들을 ‘예술가’로 바꾸어 보고 싶다. 이준원 작가의 작품 속에는 보편성과 개별성이 동시에 담겨 있다. 오래전부터 반복되는 이야기가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면서도, 우리를 흔들어 깨워 같음을 극복해보도록 용기를 북돋는다. 그 용기가 개인의 서사를 지루한 반복 속에 머물게 하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게 만든다. 비록 거대한 서사와 법칙을 거스를 수 없는 미약한 움직임일 뿐일지라도, 우리는 그렇게 여기까지 왔다. 그러니 작가가 소환해낸 존재들, 그들이 화면 위에 남긴 얼룩은 조금 더 달라져 보려는 용기의 흔적일 테다.
아주 오래전부터 시작된 북소리가 시간을 통과하여 귓가에 울린다. 시공간을 초월하는 거대한 물줄기가 힘차게 흐른다. 작디작은 우리를 어깨에 얹은 거대한 존재의 발걸음이 진동한다. 쉽게 거스를 수 없는 것을 알지만, 그럼에도 다시 움직여 본다. 현재를 치열하게 살아가는 생은 숭고하다. 이것은 아주 오래전 이야기가 시작되던 순간부터 달라지지 않은, 그리고 가장 가까이에 있는 진실이다.

김지연(미술비평) bloom_ing@naver.com

The Marks of Courage
We cannot escape from the big narratives we are part of, but it is also true that each one of us is the owner of his own life. On the other hand, we also know that obedience cannot always be the solution to the myriad challenges we face in life. To change our future even by the slightest bit or to make wishes that the bone our ancestor tossed into the air does not remain just a club and a weapon, our will to overcome our past must try directions not taken before. What does painting mean in this context? To answer this question, we may return to cave paintings, the first of mankind’s visual art, which likely began as “marks” of yearning and “totems” of encouragement — in other words, they were the fiercest of our gestures for survival.
The Korean philosopher Kim Chang-Rae wrote in his book Science and Human Sciences (2021) that, as we are living in an era where identical things repeat and return endlessly, we are always at the risk of being snapped into solitary confinement of the now, believing that the repeating reality is the only way to be. But historians and poets shake our shoulders, wake us up, and expand our souls to the past, future, and realms of imagination. We understand and reconcile our differences by expanding our cognition, and we break the notion that there is only one answer to life and form new egos. Kim says that only by attaining such a viewpoint that tolerates diversity and simultaneously accepts the commonality of life could we genuinely break the shackles of the now.
Now, let’s replace historians and poets with “artists.” Lee’s works contain ubiquity and individuality at the same time. They remind us of the stories that repeat timelessly, but they also awaken and encourage us to overcome sameness. And it is this courage that breaks us away from the tireless, cyclical stories and spurs us to push forward with our individual narratives. Our movements are too weak to overturn the grand narratives and orders, but these are what brought us thus far. And therefore, the beings Lee summons in front of us and the marks they leave on his canvases must be the products of courage to bring change even by the slightest.
The sound of drums that began beating from unfathomable past cuts across time and rings in our ears. The great river that transcends spacetime flows ferociously. We are no more than minuscule beings riding on the shoulders of an eternal giant, and his footsteps rock the earth. We know how difficult it is to swim against these currents, but we would always try again just one more time. Everyone who battles against the tasks of his life is decorous, and this is a truth that had never changed from the epochs when all stories began and a truth that lies the nearest to us.

Kim Jiyeon (Art Critic) bloom_ing@naver.com

Read More

CV

 

학력

2011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졸업, 서울, 한국

 

주요 개인초대전

2022 Totem Flow, 프린트베이커리 더현대, 서울, 한국
Thrown 던져진, 혜화아트센터, 서울, 한국
Pankration, 당림미술관, 아산, 한국
2021 아주 오래된 드라마, 갤러리세인, 서울, 한국
MYTH,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파주, 경기
Primeval Dance, 금산갤러리 윈도우, 서울, 한국
2020 MY TOTEM, 맨션나인, 서울, 한국

 

 

EDUCATIONS

2011 Chung-Ang Univ. College of Art, Seoul, Korea

 

SELECTED SOLO EXHIBITIONS

2022 Totem Flow, Printbakery the hyundai seoul, Seoul, Korea
Thrown, HYEHWA Art Center, Seoul, Korea
Pankration, Dangnim Art Museum, Asan, Korea
2021 The ancient drama, gallery sein, Seoul, Korea
MYTH, Aersenter whitebluck, Gyeonggi, Korea
Primeval Dance, keumsan gallery, Seoul, Korea
2020 MY TOTEM, MANSION9, Seoul, Korea

 

Read More

"*" indicates required fields